[문학] 영화이론과 비평의 근본적 의의 (한국문학전집 451)
윤기정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예술운동의 ××××× 즉「----- 예술의 확립」은 우리들이 당면한 가장 중대한 중심적 과제이다. 1930년은...
[문학] 시평과 시론 (한국문학전집 440)
권환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재린(在隣)한 일본의 프롤레타리아 문단에서는 시부문이 가장 장족으로 발전되어 있는 반대로 우리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단...
[문학] 조선농민문학의 기본방향 (한국문학전집 441)
권환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민주주의 혁명인 현 단계에 있어 봉건제도 잔재의 소탕이 한 중요한 과업으로 되어 있는 것은 누구나 대개 상식적으로 다...
윤기정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제2차 세계대전은 파쇼국가의 전면적 패퇴와 진보적 민주주의국가의 완전한 승리로 귀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주의의 야만적 ...
[문학] 문예시평 (한국문학전집 452)
윤기정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조선프로예술운동이 각 부문 - 문학, 연극, 영화, 미술, 음악 - 의 기술자 등의 예술적 활동이 아니었던 것은 누구...
윤기정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조선의 무산계급운동이 1927년을 과정하여 오는 동안에 일찍이 보지 못하던 격렬한 이론투쟁으로 일관되었다는 것은 누구...
[문학] 1927년 문단의 총결산 (한국문학전집 455)
윤기정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조선에 있어서 프롤레타리아 문예운동은 전 무산계급 ----- 과 함께 반드시 과정하게 된 발전과정으로 의식적으로 과정...
[문학] 무산문학가의 창작적 태도 (한국문학전집 456)
윤기정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조선의 무산계급문예운동은 역사적 필연과 객관적 정세와 의식적 전위분자등의 계급적 행동에 의하여 ----- 전무산계급 ...
[문학] 최근문예잡감 (한국문학전집 457)
윤기정 저
도디드 2016-08-02 YES24
우리는 최근에 이르러 작품 행동이란 말을 자주 하게 되고, 자주 쓰게 되었다. 그러면 과연 작품이 한낱 행동으로 인증...
[문학] 조선미전단평 (한국문학전집 393)
권구현 저
도디드 2016-07-19 YES24
본문에 기초함에 있어 필자는 사도(斯道)에 전연 문외한이 아닌 관계상 다소의 자신과 흥미를 가진다. 그러나 평이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