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사일러스 마너 (Silas Marner) 영어로 읽는 명작 시리즈 351

사일러스 마너 (Silas Marner) 영어로 읽는 명작 시리즈 351

저자
조지 엘리엇(George Eliot) 저
출판사
논객넷 출판사
출판일
2017-04-24
등록일
2017-09-13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782K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조지 엘리엇의 전기 작품인 ≪사일러스 마너≫(1861)는 18세기 후반에서 나폴레옹 전쟁 후인 19세기 초를 배경으로, 그녀가 어린 시절 보았던 등짐을 진 아마포 직조공1)을 주인공으로 그린 작품이다. 작가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저 하찮은 수수 알 같은 생각에서 나온 옛날 농촌생활 이야기’2)다. 이 작품은 조지 엘리엇의 작품 중에서 길이가 짧은 편에 속하지만, 동화적인 ‘사일러스 마너’의 플롯과 사실적인 ‘고드프리 캐스’의 플롯이 어우러진, 형식이나 내용 면에서 매우 짜임새 있는 원숙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이 작품의 예술적 완성도 역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가령 가난한 농민의 삶과 농촌 사회를 실감나게 그린 ‘레인보’ 술집 장면은 셰익스피어 작품에 비견될 정도로 격찬을 받은 바 있다. 그리고 몇몇 평론가들은 돌리 윈스럽 부인(Mrs. Dolly Winthrop)같은 인물 묘사를 격찬하면서, 학식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어려운 사람을 돕는 지혜로운 인물로 잘 그려냈다고 칭찬했다. 그러나 ‘레인보’ 술집 장면이나 인물묘사 등 작품 일부분에 대한 호평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형식과 주제에서 두 개의 플롯이 서로 받쳐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은 두 개의 플롯으로 구성되어 상류층과 하류층, 19세기 초 발전하는 산업도시와 조용한 농촌사회 등 여러 면에서 다른 두 세계를 대조해서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대조가 매우 짜임새 있게 통합되어 있다. 동화적인 마너의 플롯과 사실적인 고드프리 캐스의 플롯은 나란히 대비되다가 던스턴의 금화 절도과 에피의 출생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며, 이로써 다소 비현실적이며 동화같은 마너의 플롯에 현실성이 부여된다. 에피가 태어난 곳은 고드프리의 세계였지만 양육되는 곳은 마너의 세계이므로, 필연적으로 두 세계가 연결된다.

그런데 이 작품에 대해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한결같이 평론에서 ≪사일러스 마너≫를 출간한 출판업자 존 블랙우드에게 보낸 조지 엘리엇의 편지를 인용하면서, 다른 작품과 구별되는 이 작품의 몇 가지 특징을 지적한다.

첫째, 작품을 언제나 고심해서 쓰는 탁월한 지성인 작가 엘리엇이 유독 이 작품의 경우에는 소설 ≪로몰라≫를 구상하던 중에 워즈워드를 비롯한 낭만주의자들이 표방하는 창작 원리를 따르듯 갑작스런 영감으로 넉 달이란 짧은 기간에 완성했다는 점이다.

둘째, 이 작품에서는 워즈워드와의 몇 가지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가령 이 작품의 제사(epigraph)는 워즈워드의 시 <마이클(Michael)>에서 ‘어린아이는 쇠락해 가는 사람에게,/ 세상이 줄 수 있는 모든 선물보다 더 많은 것,/ 즉 희망과 미래지향적인 생각을 가져다준다.(146∼148행)’는 구절의 인용이다. 뿐만 아니라 주인공이 미천한 아마포 직조공이라는 점, 마너 플롯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인물의,/ 사회적 신분이 낮다는 점, 그리고 민중성을 보여주는 ‘레인보’ 장면 등은 이 작품과 워즈워드의 연관성을 충분히 입증해준다. 구체적으로 이 작품의 주제라는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인간관계가 갖는 치유력’3)도 실은 워즈워드적인 개념이다.

한편 이 작품에 대한 접근은 엘리엇의 작품을 보는 두 가지 관점, 즉 도덕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다.

첫째로, 사일러스가 상실했던 인간애를 에피를 통해 되찾고 인간의 사랑이 금보다 더 고귀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점, 또한 착한 사일러스는 후일 보상받고 사악한 인물은 아니지만 부권(父權)을 거부한 고드프리는 벌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적 결말은 도덕적 해석을 가능케 한다. 이 작품을 ‘정신적인 부활의 신화’나 ‘회복의 소설’이라고 말하는 것도 다 이런 관점의 해석이다. 그리고 ‘돈보다 우월한 사랑에 관한 분명한 도덕적 표현이자 고립과 사회에 관한 이중의 이야기’라는 지적은 이 작품의 사회적 ? 도덕적 관점을 모두 보여준다.

엘리엇이 자신의 다른 작품에서, 특히 ≪급진주의자 펠릭스 홀트(Felix Holt, the Radical)≫에서 강조했던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