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민주주의와 교육 (Democracy and Education) 영어로 읽는 명작 시리즈 375

민주주의와 교육 (Democracy and Education) 영어로 읽는 명작 시리즈 375

저자
존 듀이 (John Dewey) 저
출판사
논객넷 출판사
출판일
2017-04-20
등록일
2017-09-13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1M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교육의 가장 큰 목적 중의 하나는 교과를 제대로 가르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가 일단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하고 실행하고 나아가 평가하고 통제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이 교육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수 많은 내용 중에서 어떤 것을, 어떻게, 왜 가르쳐야 하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하고 연구하는 분야가 교육과정(敎育課程論, curriculum)이다.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핵심이다. 우리의 학교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이나 학생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들이 교육과정과 관련되어 있다.1) 교사가 자신의 전공교과를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교과서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교과의 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것이다. 과거에는 교과서 중심의 시대였으나 이제는 교육과정 중심의 시대로 변화되고 있으며, 대학에서도 전문적인 교사가 되기 위한 사람들에게 교육과정을 반드시 가르치고 있다.

교육과정이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한 마디고 내리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특정 용어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명칭으로 정의를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교육과정이라는 용어는 구체적 대상물이 아닌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교육과정을 한정된 의미로 정의할 경우 교육과정이 지니고 있는 다양하고도 풍부한 의미가 감소하게 되고 중요하고도 본질적인 측면이 간과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정의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라는 말을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유익할 수가 있다.2)

교육과정이라는 용어는 1890년대에 접어들면서 학생들이 배우는 교수요목(course of study)으로 이해되기 시작하였다. 교과과정에 대한 이러한 고전적 정의는 1930년대까지 통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고전적 정의는 지식의 급격한 증가와 학습맥락을 무시한다는 진보주의 교육철학자들의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후 학습자의 입장에서 경험이 교육과정의 실체적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사고가 등장하게 되었다.7)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교육과정을 단순히 내용적 측면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내용을 실체적으로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가를 강조하는 사전계획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는 교육의 책무성을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교육의 결과를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발전하게 되었다.

프랜시스 웨일랜드 파커(Francis Wayland Parker, 1837~1902)
프랜시스 웨일랜드 파커(Francis Wayland Parker, 1837~1902)
교육과정의 역사를 교육철학(敎育哲學, philosophy of education)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세기의 교육은 고전 교육과정으로 주로 라틴어, 그리스시대의 고전, 수학, 문학, 역사 등을 가르쳤다. 이러한 고전 교육과정은 정신도야설의 입장에서 고전을 통한 정신 근육의 단련을 목적으로 하였다.8) 고전 교육과정과 같은 암기위주의 교육은 존 듀이(John Dewey)에 의해 진보주의 아버지라고 불린 프랜시스 웨일랜드 파커(Francis Wayland Parker, 1837~1902)의 퀸시 시스템(quincy system)에 의해 고전암기식 교육에 대한 배격운동이 일어났으며, 아동의 흥미를 고려한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학문명백과 : 사회과학, 형설출판사)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