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 (湯液篇) 04 - 원문|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 (湯液篇) 04 - 원문|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저자
허준(許浚) 저
출판사
논객넷 출판사
출판일
2017-06-16
등록일
2017-09-13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613K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동의보감(東醫寶鑑) - 1. 내경편 (內景篇) 2. 외형편 (外形篇) 3. 잡병편 (雜病篇) 4. 탕액편 (湯液篇) 5. 침구편 (針灸篇)
중에 탕액편 (湯液篇) 입니다

1610년(광해군 2) 허준(許浚)이 지은 의서(醫書).

개설
25권 25책. 1610년(광해군 2)에 완성하여 1613년 내의원에서 개주갑인자(改鑄甲寅字) 목활자로 첫 간행된 조선 최고의 의학서적이다.
이 책은 원래 1596년(선조 29)에 태의(太醫) 허준이 왕명을 받아 유의(儒醫)인 정작(鄭?)과 태의 이명원(李命源)·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찬집하였는데, 정유재란으로 일시 중단되었다가 그 뒤 선조가 허준에게 다시 명하여 계속 편집하도록 하였으며, 내장방서(內藏方書) 500권을 내주어 고증하게 하였다. 허준이 전심전력하여 1610년에 마침내 완성하자, 왕은 곧 내의원에 명하여 인출(印出), 널리 반포하게 하였다.
책 제목의 ‘동의(東醫)’란 중국 남쪽과 북쪽의 의학전통에 비견되는 동쪽의 의학 전통 즉, 조선의 의학 전통을 뜻한다. ‘보감(寶鑑)’이란 “보배스러운 거울”이란 뜻으로 귀감(龜鑑)이란 뜻을 지닌다. 허준은 조선의 의학 전통을 계승하여 중국과 조선 의학의 표준을 세웠다는 뜻으로 ‘동의보감’이라 이름 지었다.

편찬/발간 경위
『동의보감』의 편찬사업은 1596년 왕명으로 시작되어 14년 후인 1610년에 완수되었다. 처음에는 허준을 비롯한 5인이 공동으로 편찬 작업에 참여했으나, 사업 초반 사정이 생겨 허준이 단독으로 집필하여 책을 완성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의주로 피난 갔던 선조는 이듬해인 1593년 서울에 돌아와 전쟁 피해의 회복에 힘을 썼다. 조선은 전쟁의 참화로 피폐해졌으며, 민간에서 이용되던 대다수의 의학 서적들도 없어지게 되어 책을 구하기 힘든 형편에 놓였다. 1596년(선조 29) 선조는 자신이 가장 신임하는 수의(首醫) 허준에게 이런 상황을 일신(日新)할 새 의학서적의 편찬을 지시했다.
허준은 왕명을 받아 당시의 뛰어난 의원을 망라해 의서(醫書) 편찬작업을 시작했다. 어의인 양예수(楊禮壽)·이명원(李命源)·김응탁(金應鐸)·정예남(鄭禮男) 등 4인과 민간에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유의(儒醫) 정작(鄭?)이 그들이다. 양예수는 허준보다 선배 세대의 어의로 신의(神醫)로 평가받은 인물이고, 정작은 어의는 아니지만 민간에서 형 정렴(鄭?)과 함께 도교적 양생술의 대가로서 의학에 밝다는 평판을 받고 있었다. 이명원은 침술에 밝았으며, 김응탁·정예남은 신예 어의였다.
이렇게 많은 의관(醫官)와 의원(醫員)들이 모여서 의서 편찬에 투입된 사례는 세종 때 10인이 참여한 『의방유취(醫方類聚)』 편찬 밖에 없었다. 이처럼 『동의보감』의 편찬사업은 처음부터 국가의 지대한 관심에 따라 대규모로 기획되었다.
초창기에 이 책은 세 가지 원칙을 세웠다. 첫째, “병을 고치기에 앞서 수명을 늘이고 병이 안 걸리도록 하는 방법을 중요하게 여긴다.” 왜냐하면 당연히 몸을 잘 지키고 병을 예방하는 것이 병 걸린 후 치료하는 것보다 더 낫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둘째, “무수히 많은 처방들의 요점만을 간추린다.” 중국에서 수입된 의학책이 매우 많았는데, 이 책은 이렇게 말하고 저 책은 저렇게 말하는 등 앞뒤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셋째, “국산 약을 널리, 쉽게 쓸 수 있도록 약초 이름에 조선 사람이 부르는 이름을 한글로 쓴다.” 시골에는 약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변에서 나는 약을 써야하는데, 그게 어떤 약인지 잘 모르기 때문에 시골사람이 부르는 약초 이름을 쓴 것이다.
이런 원칙에 따라 차례가 겨우 정해졌을 때, 1597년(정유년) 1월 일본군이 다시 쳐들어오는 정유재란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서 참여한 인물들이 뿔뿔이 흩어져버려 『동의보감』을 편찬하는 일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완전히 끝난 후 1601년 봄 선조는 허준을 불러 왕실에서 소장하고 있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