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민간신앙 (民間信仰) 한국의 종교 02

민간신앙 (民間信仰) 한국의 종교 02

저자
종교연구회 저
출판사
논객넷 출판사
출판일
2018-06-14
등록일
2018-10-29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373K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한국의 종교 시리즈) 세계 종교와 달리 한국적 종교를 백과 사전 입장에서 올린 글입니다. ------------------------------------------------------- 민간신앙 (olk-beliefs, 民間信仰) 특정한 교조(敎祖) ·교리체계(敎理體系) ·교단조직(敎團組織)을 가지지 않고 일반민중의 생활 속에 전승(傳承)되고 있는 전종교적(前宗敎的) 또는 주술적(呪術的)인 신앙형태. 민간신앙이라는 어휘는 아직 학문상으로 명확하게 규정된 학술어가 아니다. 따라서 그 개념은 막연하고 사람들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교민족학 또는 종교민속학이 진전됨에 따라서 개념내용이나 영역, 대상에서 하나의 통설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즉, 자연종교적이면서 성립종교(成立宗敎:established religions)와 유합적(?合的)이라는 것이다. 자연종교적이라 함은 특정한 창교자가 없고, 계시적(啓示的)이 아니며, 신앙의 체계화가 이룩되지 않았고, 조직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어느 때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는 아득한 옛적부터 믿어 온 민족으로서의 계승적 신앙이라는 것이다. 이 신앙에는 만들어진 것도 있으나, 성립종교의 신앙을 받아들여서 유합한 것도 있다. 그 유합과정에서 재래의 민간 신앙이 파괴되어 해체되는 경우가 있다. 유럽 사회에서는 그리스도교의 전래에 의해서 그 신앙은 해체되고 말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성립종교의 전도보급 또는 형성이 있었으나 민간신앙은 남아서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왔다. 이런 계승면에서 민간신앙은 그 민족의 독특한 신앙이기도 하다. 그런 만큼 민간신앙이 지지되는 범위는 한 민족 한 국가 내의 한 마을에 한정되어 작은 지역사회 안에서 생활하는 작은 규모의 생활공동체에 국한되고 만다. 그 생활공동체에서도 불교 ·유교 ·도교 ·그리스도교 등과 같은 성립종교나 천도교 ·증산교 ·대종교 등의 여러 민족종교에 귀의하고 있는 층과 지역사회 공동체의 일상생활 영역 밖에 있는 층이 제외된다. 그러나 민간신앙층의 영역은 공동체의 일상생활층에서 생활하는 소위 서민층에 그 기층(基層)을 두고 있다고 할 것이다. 또 민간신앙은 그것이 지역적인 범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지방적인 색채가 짙다. 이와 같이 성립종교와는 달리 개인신앙보다 한층 더 공동체적이고 서민적인 민간신앙은 이성판단이 아닌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경험의 반복에 따른 판단에 그 신앙구조의 근거를 두고 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숭배로 구성되어 있다. ① 자연숭배, ② 정령숭배, ③ 주력(呪力)숭배, ④ 신당(神堂)숭배, ⑤ 외래종교와의 접촉에서 생기는 여러 숭배 등이다. 자연숭배는 인간의 생득적(生得的)인 신앙심이 민간사회에 가라앉아서 마을생활의 밑바닥에 퇴적되어 있다. 그 중에서 뚜렷한 것은 산 ·바위와 나무 ·물이다. 이런 것들의 그 자체가 숭배의 대상이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런 자연숭배(원시신앙)는 사회진전에 따라 일어난 생활의 분화에 적응하면서 종교영역에 정착하여 왔으며, 또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산이 수렵사회에서는 수렵숭배의 대상이 되거나, 물이 어로사회에서 어획물 취득을 보장하고 해상운항의 안전을 다스리는 수호의 대상이 되는 따위이다. 이 자연숭배에서 발생한 신앙 속에 이미 정령에 대한 신앙이 잠복하여 있다. 즉, 산에 산령, 물에 수령, 나무에 수목령, 바위에 암석령, 사람에게 인간령이 있다고 믿으며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밑바닥에 그것을 성립시키는 제각기의 정령(anima)이 실재한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이 정령숭배에서 농경민은 씨앗에 농업생산을 충실하게 하는 산령(産靈)의 실재를 인정하며, 그 산령은 생식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또 한편, 정령숭배에서 조령(祖靈)숭배가 파생되어 인간 속에 영혼의 실재가 신앙된다. 그 영혼은 육체가 사멸하여도 남아 있으며, 후손의 탄생은 영혼의 이입(移入)이라고 믿음으로써 조령신앙이 성립되었다. 한편 공동체에서 가족의 주체성이 확립됨에 따라서 일가를 창시한 선조를 특별히 숭배하는 선조령(혹은 선조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