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김소월 시인의 제1시집.
김소월 시인은 한국 현대시사에서 전통적 율조와 정서를 성공적으로 시화한 대표적인 시인이다. 그의 시는 이별과 그리움에서 비롯하는 슬픔ㆍ눈물ㆍ정한 등을 주제로 하며, 지극히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해 독특하고 울림이 큰 표현을 이룩하는 경지를 보여준다.
불과 5, 6년 남짓한 짧은 문단 생활 동안 그는 154편의 시와 시론(詩論)인 <시혼(詩魂)>을 남겼다. 평론가 조연현은 “그 왕성한 창작적 의욕과 그 작품의 전통적 가치를 고려해 볼 때, 당대에 있어서 천재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시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고 극찬하고 있다.
<한국대표시집-정본> 시리즈는 우리나라 근·현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시(詩) 작품집의 원본을 손상하지 않고, 일부 현대어와 맞춤법에 따라 정리, 감수한 정본(正本) 시집입니다.
목차
1부. 님에게 / 먼 후일 / 풀따기 / 바다 / 산 위에 / 옛이야기 / 님의 노래 / 실제 / 님의 말씀 / 님에게 / 마른 강 두덕에서
2부. 봄밤 / 봄밤 / 밤 / 꿈꾼 그 옛날 / 꿈으로 오는 한 사람
3부. 두 사람 / 눈 오는 저녁 / 자주 구름 / 두 사람 / 닭소리 / 못 잊어 /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 /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
4부. 무주공산(無主空山) / 꿈 / 맘 켕기는 날 / 하늘 끝 / 개아미 / 제비 / 부엉새 / 만리성 / 수아
5부. 한때 한때 / 담배 / 실제 / 어버이 / 부모 / 후살이 / 잊었던 맘 / 봄비 / 비단 안개 / 기억 / 애모 / 몹쓸 꿈 / 그를 꿈꾼 밤 / 여자의 냄새 / 분 얼굴 / 아내 몸 / 서울 밤
6부. 반달 / 가을 아침에 / 가을 저녁에 / 반달
7부. 귀뚜라미 / 만나려는 심사 / 옛낯 / 깊이 믿던 심성 / 꿈 / 님과 벗 / 지연 / 오시는 눈 / 설움의 덩이 / 낙천 / 바람과 봄 / 눈 / 깊고 깊은 언약 / 붉은 조수 / 남의 나라 땅 / 천리만리 / 생과 사 / 어인 / 귀뚜라미 / 월색
8부. 바다가 변하여 뽕나무밭 된다고 / 불운에 우는 그대여 / 바다가 변하여 뽕나무밭 된다고 / 황촉불 / 맘에 있는 말이라고 다 할까 보냐 / 훗길 / 부부 / 나의 집 / 새벽 / 구름
9부. 여름의 달밤 / 여름의 달밤 / 오는 봄 / 물마름
10부. 버려진 몸 / 우리 집 / 들도리 / 버려진 몸 / 엄숙 /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다면 / 밭고랑 위에서 / 저녁때 / 합장 / 묵념
11부. 고독 / 열락 / 무덤 / 비난수하는 맘 / 찬 저녁 / 초혼
12부. 여수(旅愁) / 여수
13부. 진달래꽃 / 개여울의 노래 / 길 / 개여울 / 가는 길 / 왕십리 / 원앙침 / 무심 / 산 / 진달래꽃 / 삭주구성 / 널 / 춘향과 이도령 / 접동새 / 집 생각 / 산유화
14부. 꽃 촉(燭)불 켜는 밤 / 꽃 촉불 켜는 밤 / 부귀공명 / 추회 / 무신 / 꿈길 / 사노라면 사람은 죽는 것을 / 하다못해 죽어달내가올나 / 희망 / 전망 / 나는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15부. 금잔디 / 금잔디 / 강촌 / 첫 치마 / 달맞이 / 엄마야 누나야
16부. 닭은 꼬꾸요 / 닭은 꼬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