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후위기는 이제 전세계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응방안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탄소중립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40% 감축하며, 2050년까지 탄소제로 달성을 목표치로 제시하고 있다. 경제사회 전반에서 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기 위하여는 가히 혁명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탄소 배출은 일반적으로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에너지가 연소될 때 발생한다. 탄소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화석연료의 사용을 탄소를 발생하지 않는 새로운 에너지로 바꿔야 한다. 우리의 산업과 경제를 움직이는 에너지를 바꾸는 것은 기존의 생산시스템이나 사회 인프라들의 본질적인 변화를 요구하게 된다.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은 이른바 사회 전 분야에서 녹색혁명이 이루어져야 하는 커다란 변혁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소개
김도희
1. 앤에이솔루션(주) 대표
2.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겸임교수
3. 한국진로창업학회 부회장
4. 창업진흥원 창업지원사업 평가위원
김윤희
1.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산업자원분석과 경제분석관
2. OECD 기업금융국 경제분석관 역임
3. 프랑스 에꼴드민 쎙테티엔 환경대학원 연구원 역임
김주태
1. 단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2.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Miami U.MBA, 서울대 국제경영전략 박사
3. (전) 국제경영관리학회장, 국제경영학회 차기회장
4. APEC, ADBI, ERIA와 국제공동연구: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성
김희
1. 포스코홀딩스 탄소중립전략담당(전무)
2.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 제10대 임원(부회장)
3. (전) 포스코 탄소중립전략실장(전무)
4. (전) 포스코 생산기술전략실 생산기술기획그룹장(상무)
노태우
1. 한양대학교 국제학부/글로벌기후환경학과 부교수
2. 한국전략경영학회/한국국제경영학회 상임이사
3.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편집위원
박상욱
1. JTBC 기자, [박상욱의 기후 1.5] 연재
2.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정책학 석사
3. 한국환경경영학회 이사
4. 국립공원공단 경영정책자문위원, 경기도 경기RE100 정책자문위원
오대균
1.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탄소시장감독기구 위원
2. (주)윈클 최고탄소책임자(CCO)
3. 서울대 에너지신산업 혁신융합대학 객원교수
임현정
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창업벤처녹색융합클러스터운영단장
2. 한국환경정책학회 이사, 국제 ESG협회 이사
3. 제2기 서울시 원전하나줄이기 실행위원
4. (전) ISO 환경경영(ISO/TC207) 위원, (전) 국회 CSR 정책연구포럼 자문위원 등
장항진
1. 한국채권투자운용 본부장/전무
2. CFA 한국협회 부회장
3. (전) 유리자산운용 마케팅 전략본부장
4. (전)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상품개발팀장
정준영
1. (주)다미 창업인베스트먼트 창업지원 총괄
2. 단국대학교 경영학과 외래교수
3. ESG 전문컨설턴트
4. (전) (주)GEN D&D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진익
1.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장
2. (전)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3. (전) 한국은행 과장
4. 미국 라이스대 경제학 박사
한오섭
1. TOMRA KOREA 대표
허규만
1.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One ESG 서비스그룹 파트너
2. 공인회계사
3.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석사,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4. 한국공인회계사회 ESG 인증소위원회 위원
형경진
1. (주)블리스바인벤처스 대표
2. 고려대학교 첨단기술비즈니스학과 일반대학원 겸임교수
3. 미국 Duke University MBA
4.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이노비즈협회) 기술평가 외부자문위원
홍성준
1. 순천향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2. 일동후디스(주) 감사
3. KT경제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
4. 삼성물산 인터넷디비젼 전략기획담당
목차
서론: 김주태, 진익 i추천사 ivPART 1: 탄소중립과 녹색경제 11. 한국의 NDC 달성 가능성: 진익 32. 에너지전환, 패권과 패러다임의 전환: 박상욱 153. 탄소중립의 실현: 김주태, 김도희 454. 탄소중립 커뮤니케이션과 기업성과 창출 메커니즘: 홍성준 65PART 2: 탄소중립 인프라와 녹색금융 895. 한국 기후대응기금의 지속가능성: 진익 916. 녹색채권의 정의와 국내 ESG채권 시장현황: 장항진 1057. 배출권거래와 탄소시장 활성화: 김윤희 1238. ESG 투자와 자발적 탄소시장의 상생 전략: 진익 1519. 기후테크와 창업: 형경진 163PART 3: 녹색경영과 국제거래 19110. 포스코 탄소중립 추진 사례: 김희 19311. 탄소중립과 외부 감축사업: 오대균 20312. 온실가스 국외감축 사례: 임현정 21513. ESG vs Green Washing: 임현정 22314.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가늠하는 재무정보 “온실가스 배출량”: 허규만 24715. 디지털기술과 탄소중립경영 사례분석: 노태우 27116. 순환 경제와 예치금 반환 제도: 정준영, 한오섭 301